앞서 이야기한 대로 저는 ADHD를 앓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꾸준히 병원을 다니고 있고 실비보험으로 보상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ADHD뿐만 아니라 그 외에 다른 정신질환도 실비를 받을 수 있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렇다면 제가 홈페이지로 실비보험 청구 방법과 그 외에 실비 보상 받을 수 있는 정신질환을 모두 알려드리겠습니다.
내가 주로 가는 ADHD 병원
저는 삼송역 근처에 있는 삼성공감 정신건강의학과를 갑니다. 집에서 제일 가까운 곳이고 선생님들도 굉장히 친절하시고 궁금한 걸 물어봐도 절대로 귀찮아하지 않으시더라고요.
![]() |
삼송 삼성공감정신건강의학과 |
위치는 삼송역 5번 출구 바로 앞에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정신병원은 친절한 곳으로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여기 말고 처음 갔던 곳은 어디라고 이야기할 수는 없지만 의사가 질문받는 걸 굉장히 귀찮아하고 약만 주려고 하는 행태를 보여서 저는 정신병원에서 정신적인 상처를 또 받고 말았습니다.
밑은 제가 쓴 전국에 ADHD 전문 병원을 알 수 있는 에이앱 홈페이지가 담긴 글입니다. 조금만 내리면 나오니 클릭하시고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ADHD PC 홈페이지로 청구 방법
저는 DB손해보험에 가입해놓은 상태이니 여기 보험회사 기준으로 이야기해 드리겠습니다. 우선 홈페이지 링크로 들어가십시오.
홈페이지에 들어가게 되면 이런 화면이 뜰 것입니다. 빨간 네모를 친 보상 버튼을 누르시길 바랍니다.
보상 버튼을 클릭하시면 상해/질병 보험금청구 란에 빨간색 네모를 친 보험금 청구가 나올 것입니다. 요걸 클릭하세요.
클릭하면 로그인 란과 비로그인 란 중에 하나를 택하여 로그인 하시면 됩니다. 비로그인은 네이버, 카카오톡으로 인증하면 로그인이 됩니다.
이런 인증 절차가 귀찮으시면 회원가입하시고 전자금융거래회원 로그인 하시면 됩니다.
보험금청구 단계에서 개인신용정보수집 단계에서 잘 읽어보시고 전체 동의를 누르세요.
그리고 쭉 내리셔서 병원에서 진료 후 받은 실비 서류를 준비하셨다면 위의 오른쪽 란에 제가 빨간 네모 표시한 '예'를 클릭하시고 밑에 '다음'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보험금청구 유형선택 단게에서 신규접수를 클릭하고 보상접수하기를 클릭합니다.
만약에 이미 서류 접수했는데 서류 넣을 것이 더 있다면 추가서류제출 클릭하시길 바랍니다.
사고 유형에는 질병사고가 자동적으로 클릭되어 있을 것이고 사고원인에서 자신의 질환에 해당되는 걸 클릭하시고 사고내용을 적어두시길 바랍니다.
보험금 청구 확인 누르시면 모든 것이 끝납니다.
만약에 이런 과정이 귀찮으시다면 제가 예전에 말씀드렸던 보험설계사님께 연락하시면 바로 해결됩니다. 방법은 밑에 링크가 있으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ADHD 외에 실비청구 받을 수 있는 정신질환
2016년도 이후에 실비보험에 가입된 분들은 정신과에서 진료를 받고 그에 해당하는 검사를 받으면 실비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정신적인 감기라는 우울증마져도 실비보험의 해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모든 정신질환이 보상되진 않고 질병분류코드가 정한 코드 내에서만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밑에 제가 정리한 도표가 있습니다. 주로 F코드로 지정되 있는 것입니다.
정신건강 관련 코드 분류
코드 | 설명 |
---|---|
F04 | 알코올 및 기타 정신활성물질에 의해 유발된 것이 아닌 기질성 기억상실증후군 |
F05 | 알코올 및 기타 정신활성물질에 의하여 유발된 것이 아닌 섬망 |
F06 | 뇌손상, 뇌기능이상 및 신체질환에 의한 기타 정신장애 |
F07 | 뇌질환, 뇌손상 및 기능이상에 의한 인격 및 행동장애 |
F09 | 상세불명의 기질성 또는 증상성 정신장애 |
F20 | 조현병 |
F21 | 조현형장애 |
F22 | 지속성 망상장애 |
F23 | 급성 및 일과성 정신병적 장애 |
F24 | 유도망상장애 |
F25 | 조현정동장애 |
F28 | 기타 비기질성 정신병적 장애 |
F29 | 상세불명의 비기질성 정신병 |
F30 | 조증에피소드 |
F31 | 양극성 정동장애 |
F32 | 우울에피소드 |
F33 | 재발성 우울장애 |
F34 | 지속성 기분장애(정동장애) |
F38 | 기타 기분(정동)장애 |
F39 | 상세불명의 기분(정동)장애 |
F40 | 공포성 불안장애 |
F41 | 기타 불안장애 |
F42 | 강박장애 |
F43 |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적응장애 |
F44 | 해리(전환)장애 |
F45 | 신체화장애 |
F48 | 기타 신경성 장애 |
F51 | 비기질성 수면장애 |
F90 | 운동과다장애 |
F91 | 행동장애 |
F92 | 행동 및 정서의 혼합 장애 |
F93 | 소아기에만 발병하는 정서장애 |
F94 |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만 발병하는 사회적 기능수행장애 |
F95 | 틱장애 |
F98 |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 주로 발병하는 기타 행동 및 정서장애 |
위의 코드는 진료비영수증, 진료비세부내역서, 처방전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때문에 보험사에 위의 서류를 주는 이유가 그것입니다.
그리고 저런 정신병력이 취업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제가 시설관리를 하면서 10번의 회사를 옮겼지만 저를 제외한 제 3자가 함부러 저의 병력을 알수도 없고 몰래 알아낼려고 하면 그것은 불법이기 때문이죠.
사회적으로 아무런 걸림돌이 되지 않으니 안심하시고 정신병원으로 향하시고 실비청구도 마음껏 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