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설비 유지관리자는 2020년 4월에 기계설비법에 의해 제정되었고 적용은 2026년 4월부터 시행됩니다. 그러면 이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등급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선임 걸 수 있는 자격증


대부분의 기계 자격증으로 선임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기계 중엔 모두 어떤 자격증들이 있을까요?



  • 기술사 : 건축 기계 설비기술사, 건설기계기술사, 공조냉동 기계 기술사, 산업기계 설비기술사, 용접기술사

  • 기능장 : 배관기능장, 에너지관리 기능장, 용접기능장

  • 기사 : 일반기계기사, 건축설비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설비보전기사, 용접기사, 에너지관리기사

  • 산업기사 : 건축설비산업기사, 배관산업기사,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용접산업기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보조 기계설비유지관리자


보조기계설비유지관리자는 밑에 있는 초급~특급 기계설비유지자들을 보조해 주는 역할입니다. 나중에 설명드리겠지만 고급 기계설비 유지관리자가 필요한 건물은 보조기계설비유지관리자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정리할 것 없이 기능사를 취득 후에 3년 이상의 경력이 필요하고 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면 바로 보조로 선임할 수 있습니다.



초급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제일 낮은 등급으로써 위 종류의 기사 자격증 이상은 취득하자마자 초급자격을 가지게 됩니다. 그 외에는 산업기사는 3년의 경력이 추가로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초급 건설기술인 자격이 있어야 합니다.


산업기사 자격증 : 건축설비산업기사, 배관산업기사,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용접산업기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3년 경력


기사 자격증 : 일반기계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건축설비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설비보전기사, 용접기사, 에너지관리기사


기능장 자격증 : 배관기능장, 에너지관리기능장, 용접기능장


초급건설기술인


중급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중급 기계설비 유지관리자부터는 기사도 경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산업기사는 7년, 기사와 기능장은 4년의 세월이 필요합니다.

산업기사 자격증 : 건축설비산업기사, 배관산업기사,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용접산업기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7년 경력


기사 자격증 : 일반기계기사, 건축설비기사, 설비보전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용접기사, 에너지관리기사 + 4년 경력


기능장 자격증 : 배관기능장, 에너지관리기능장, 용접기능장 + 4년 경력


중급 건설기술인 

고급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위의 기계설비 유지관리자처럼 더욱 많은 경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산업기사는 10년의 경력 기사와 기능장은 7년의 경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기사와 기능장이 거의 동급 취급을 받으니 둘 중에 자신의 구미에 맞는 자격증을 채택하시는 게 좋을 것입니다.



산업기사 자격증 : 건축설비산업기사, 배관산업기사,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용접산업기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10년 경력


기사 자격증 : 일반기계기사, 건축설비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설비보전기사, 용접기사, 에너지관리기사 + 7년 경력


기능장 자격증 : 배관기능장, 에너지 관리기능장, 용접기능장 + 7년 경력


고급 건설기술인 



특급 기계설비 유지관리자


고급 기계설비 유지관리자보다 훨씬 많은 경력을 요하고 여기에 기술사가 포함됩니다. 


그래도 산업기사, 기사로도 특급 기계설비 유지관리자로 승급할 수 있습니다. 산업기사는 13년의 경력, 기사는 10년의 경력이 필요하고 기술사는 취득하자마자 특급대우를 받습니다. 



산업기사 자격증 : 건축설비산업기사, 배관산업기사,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용접산업기사, 에너지관리산업기사 + 13년 경력


기사 자격증 : 일반기계기사, 건축설비기사, 건설기계설비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설비보전기사, 용접기사, 에너지관리기사 + 10년 경력


기능장 자격증 : 배관기능장, 에너지관리기능장, 용접기능장 + 10년 경력


기술사 자격증 : 건축기계설비기술사, 기계기술사, 건설기계기술사, 공조냉동기계기술사, 산업기계설비기술사, 용접기술사


끝내면서


기계 자격증은 전기자격증에 비해 대우받지 못했지만, 새로운 기계설비 유지관리자라는 시스템의 도입으로 기계측 시설관리에 대한 대우가 개선되고 있습니다. 


특급 기계설비유지관리자 승급 시에 연봉은 5,000만 원에서 8,000만 원 정도로 예상됩니다.


2026년 4월 이전까진 임시 유지관리자이므로 자격증 취득 시 취직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하시기를 권장합니다.